현재 접속자

671명

로그인 이미지 쓰담쓰담에 로그인 해주세요. 아이콘
동물위키아이콘

춤추는 꿀벌 (feat.꿀벌의 의사소통 방법)

profile_image

본문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19872_3819.png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꿀벌은 


꿀을 모으고 벌집을 짓는 부지런한 곤충이죠. 



하지만 그들이 단순히 



'열심히 일하는 곤충'



그치지 않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19976_9047.png
 


놀랍게도 은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투표’를 통해 



집단의 방향을 정한다고 합니다. 



이 작고 노란 곤충들이 보여주는 집단 지성은 


생각보다 훨씬 정교하고 과학적이에요.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20044_5594.png
 


대표적인 예는 벌집 이주 과정입니다. 



벌집이 파괴되었거나 새로운 여왕벌이 탄생분봉을 할 때, 


일벌들은 새로운 거처를 찾기 위해 탐험을 시작하죠. 



수백 마리의 일벌이 주변 3~5km 반경을 날아다니며 적절한 장소를 찾습니다. 



그리고 마음에 드는 장소를 발견한 일벌은 


벌집으로 돌아와 특유의 ‘둥근 춤(waggle dance)’을 추며 정보를 공유해요.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20152_2161.png
 


이 춤은 단순한 자랑이 아닙니다. 



춤을 추는 방향장소의 방향을, 


춤의 길이와 진동거리와 장소의 질을 의미해요. 



그리고 그 춤이 설득력 있다고 판단되면 


다른 벌들도 해당 장소를 조사하러 떠납니다. 



더 많은 벌이 같은 장소에 대해 춤을 추게 되면, 점점 ‘지지율’이 올라가죠.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20297_7162.png
 


마치 다수가 지지하는 후보가 선출되는 '선거'처럼 말이에요.



흥미로운 점은, 



벌들은 한 장소에 대한 지지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야만 


이동 결정을 내린다는 겁니다.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20376_6256.png
 


대개 80% 이상의 일벌이 특정 장소에 대해 춤을 출 때


전체 집단이 그 방향으로 날아가 새 집을 짓는다고 해요. 



과학자들은 이 과정을 ‘다수결 기반의 의사결정 시스템’이라고 부르며, 



실제로 인간 사회의 의사결정 방식과도 유사하다고 평가하고 있답니다.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20453_2654.png
<cornell 대학교 Thomas Seeley 박사의 논문>



이 현상은 2010년 '사이언스'에 실린 


미국 코넬대학의 생물학자 토머스 D. 시리의 연구를 통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그는 꿀벌의 의사결정 과정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Honeybee Democracy라는 책까지 출간했죠.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20486_6881.png
 


이 책에서는 꿀벌이 어떻게 경쟁과 협력을 통해 최선의 선택을 하는지를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어요.



꿀벌의 이 같은 행동은 



‘작은 생명체도 집단 속에서는 놀라운 판단을 할 수 있다’



는 사실을 우리에게 일깨워 줍니다.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20599_9833.png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개체들이 대화를 나누고, 


점차 공통의 방향으로 의견을 모아가는 모습은 


어쩌면 인간 사회가 배워야 할 태도일지도 모르겠어요.



e6e48e2411489568b8623a78966b5f64_1744020610_2034.png
 


작은 날개로 꽃을 날아다니는 벌들. 



하지만 그 안에는 


질서와 합리, 그리고 민주주의적 사고방식까지 담겨 있었던 셈이죠. 



다음에 벌집을 보게되면, 꿀벌들이 펼치고 있을 놀라운 회의를 상상해 보세요. 


분명 조금은 다르게 보일 거예요.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실시간 인기게시물

아이콘

동물위키

RSS 글쓰기

실시간 인기게시물

우리아이 자랑하기 전용공간 쓰담쓰담

아이디,비밀번호 찾기|회원가입

새 글

새 댓글

랭킹

더보기+
맨위로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