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접속자

634명

로그인 이미지 쓰담쓰담에 로그인 해주세요. 아이콘
동물위키아이콘

도마뱀 꼬리가 재생하는 원리

profile_image

본문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1126_7186.png



 도마뱀위협을 느끼면 꼬리를 자르고 도망치는 습성이 있어요. 


생존을 위한 이 놀라운 능력은 많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죠. 



그런데 더 놀라운 건, 


자르고 나서 시간이 지나면 꼬리가 다시 자라난다는 사실입니다.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1797_3083.png
 


이렇게 꼬리를 자르는 행위는 '자절'이라고 하며 

또, 잘려나간 꼬리는 얼마동안 꿈틀거리죠.


 

포식자는 잘려나간 꼬리에 이목이 끌려 그동안 도마뱀은 

안전하게 도망칠 수 있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1816_226.png
 


꼬리가 잘린 후에는 재생이 시작됩니다. 


도마뱀의 몸속에는 이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세포들이 준비되어 있답니다.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줄기세포예요. 



꼬리가 잘린 부위 주변에 모인 줄기세포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다른 세포들 


근육, 신경, 피부 등으로 변해갑니다. 



이렇게 해서 새로운 꼬리가 서서히 자라나게 되는 거죠.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1872_9374.png
 


하지만 원래의 꼬리와 완전히 똑같이 재생되는 건 아니에요. 


구조나 색상, 움직임에서 약간의 차이가 생깁니다. 



예를 들어, 원래의 꼬리에는 등뼈 역할을 하는 척추가 있지만, 


재생된 꼬리에는 단단한 연골이 들어가요. 



외관상 비슷해 보여도 내부 구조는 조금 다르다는 얘기죠.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1942_2054.png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1943_7587.png



도마뱀의 꼬리 재생은 과학계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어요. 


사람도 손가락이나 장기가 다시 자라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래서 도마뱀의 재생 원리를 분석해서 


인간의 조직 재생에 응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특히 척추손상이나 


절단된 신체 부위의 재생 치료에 희망을 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어요.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2060_6506.png
 




하지만 



모든 도마뱀이 꼬리를 재생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일부 종은 꼬리를 자를 수는 있지만, 


재생이 제한적이거나 아예 되지 않기도 하죠. 



또한 재생이 반복될수록 


새로 자라는 꼬리는 점점 짧아지거나 약해지는 경향도 있어요. 



그래서 도마뱀도 자주 이 능력을 쓰지는 않으려 해요. 


일종의 ‘최후의 수단’인 셈이죠.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2114_9513.jpg
 


자연은 정말 신비롭고 정교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도마뱀의 꼬리 재생 능력은 단순한 생물학적 특징을 넘어서, 


생명과 진화의 경이로움을 느끼게 해주는 요소가 아닐까 싶습니다.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2187_025.png
 


반려동물로 도마뱀을 키우고 있다면, 


혹시라도 꼬리를 잃게 되는 일이 생겨도 너무 놀라지 마세요. 


적절한 환경과 영양만 제공해주면, 


이 놀라운 생명체는 스스로 회복하는 방법을 알고 있답니다.



f32b7fc36269d68a3985f067ff175329_1744632227_6233.png





TIPS! 일일 미션 달성하고 펫코인 받기
전체보기 더보기 아이콘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실시간 인기게시물

아이콘

동물위키

실시간 인기게시물

우리아이 자랑하기 전용공간 쓰담쓰담

아이디,비밀번호 찾기|회원가입

새 글

새 댓글

랭킹

더보기+
맨위로 아이콘